닫기
삭제
검색
산업안전
산업보건
안전인증
시험·검사
기타분야
자료마당
커뮤니티
사업실적
견적문의
업체검색
로그인
을 해주세요.
파트너회원가입
회원가입
산업안전
위험성평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제조)
중대재해처벌법
산업안전컨설팅
산업보건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직무스트레스 평가
감정노동평가
안전인증
자율안전확인신고(KCs인증)
어린이제품 안전인증(KC인증)
방송통신기자재 적합성평가(KC인증)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인증(KC인증)
시험·검사
전기안전시험(SAFETY TEST)
전자파적합성시험(EMC TEST)
신뢰성·환경시험
에너지효율시험
기타분야
공정안전보고서(PSM)
공정안전보고서(사후관리)
CE 인증 컨설팅
방폭인증
방수방진(IP)시험
안전보건진단
안전관리대행
보건관리대행
작업환경측정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건설안전진단
시설물안전진단
사전안전조사
안전관리계획서
안전보건대장
시설물안전점검
유해·위험방지계획서(건설)
재해예방기술지도
안전보건교육
화학사고 예방관리계획서
연구실안전진단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자료마당
안전보건자료
세이프어스 자료
재해사례
서식자료
법령·지침
산업재해통계
교육자료
미디어자료
커뮤니티
공지사항
안전보건in
자주하는 질문
안전뉴스
응원한마디
이벤트
사업실적
사업실적
견적문의
세이프어스 견적문의
비교 견적문의
컨설팅 시세 확인
고객/파트너사 후기
업체검색
업체검색
자가진단
자가진단
회사소개
CEO 메세지
비전과 미션
공평성 보장 선언
조직도
인천지역본부
경남지역본부
CI 및 슬로건
세이프어스 발자취
파트너쉽현황
찾아오시는 길
서비스
회원가입
파트너 등록
로그인
아이디찾기
비밀번호 찾기
출석체크
전체
공지사항
출석체크
안전보건in
자주하는 질문
안전뉴스
응원한마디
이벤트
이벤트
적립금, 쿠폰 혜택
안전뉴스
포항 하수도관로 공사장서 LPG 가스 누출...근로자2명 화상
포항남부소방서 제공 [포항=뉴시스]안병철 기자 = 경북 포항에서 하수관로 정비공사 도중 LPG 가스가 누출돼 근로자 2명이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4일 포항남부소방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4분께 포항시 남구 인덕동 한 하수관로 정비공사 작업장에서 LPG 가스가누출됐다. 이 사고로 근로자 A(49)씨와 B(50)씨가 안면부 등 2도 이상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고 있다. 소방당국은 장비 4대와 인력 11명을 투입해 안전 조치했다. 소방이 현장을 확인한 결과 이들이 산소절단작업 도중 LPG 가스통 밸브를 완전히 잠그지 않아 가스가 누출돼 순간적으로 착화되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A씨와 B씨를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할 예정이다. 소방과 경찰은 이들이 산소절단작업 도중 LPG 가스통 밸브가 완전히 잠기지 않아 누출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 뉴스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013759?sid=102
2023.08.04
창원 남해고속도로 인근 운반차량서 '황산 유출' 사고 발생
황산유출 사고가 난 탱크로리 -독자 제공 경남 창원시 의창구 남해고속도로 1지선 함안 방향 마산요금소 인근에서 25t탱크로리에서 황산이 유출돼 비상이 걸렸다. 3일 낮 12시 25분께 경남 창원시 의창구 남해고속도로 1지선 함안 방향 마산 요금소 인근 약 200m 지점에서 30대 운전자 A씨가 몰던 25t 탱크로리에서 황산이 유출됐다. 이 사고로 아직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황산 유출이 계속 이어지면서 서마산 나들목∼창원 분기점 양방향이 모두 차단돼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경찰에 따르면 운전자 A씨는 울산에서 발연황산 24.3t을 싣고 여수로 향하던 중 탱크로리 하부 배출 밸브 쪽에서 백색 연기가 나는 것을 확인하고 차량을 갓길에 멈춰 세웠다. 때마침 사고 현장을 지나던 견인 차량 기사가 이를 보고 119로 신고했다. 소방당국은 사고 차량에 담긴 황산을 다른 탱크로리로 옮기기 위해 차량을 섭외했으나 작업 과정에 문제가 생겨 다시 다른 차량으로 교체해 작업을 진행중이다. 사고가 발생하면서 창원시는 소계동, 팔용동, 구암동 인근 주민들에게 외출 자제를 당부하는 안전 안내 문자를 보냈다. 경남교육청도 사고 1㎞ 지점 내 학교와 기관 관리자에게 주의 당부 문자를 발송했다. 경상고는 교실에 옅은 가스 냄새가 나 이날 오후 3시 30분께 학생들을 귀가 조처할 계획이다. 발연황산은 화약이나 염료 등을 제조하는 데 쓰이며 부식성이 강해 주의가 필요하다. ※ 뉴스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67895?sid=102
2023.08.04
부천시,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사업소 현장 점검
부천시보건소 기계실을 현장 점검중 [데일리안 = 안순혁 기자] 부천시가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위험성 평가 개선을 위해 8월 4일까지 중대재해 위험이 있는 시 사업장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한다. 27일 시에 따르면 위험성 평가는 질병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 요인을 사전에 찾아내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제도다. 시는 앞서 부서별 위험성 평가 수준의 격차를 인지하고, 전체 부서의 위험성 평가 점검을 시행해 선별된 시 사업장 10곳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점검 항목은 △위험성 평가 적정성 △현장 유해·위험 요인 확인 △현장 유해·위험 요인 개선여부 확인 등이다. 시는 점검 시 현장 교육을 통해 위험성 평가 절차 및 개선방안을 지도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점검을 토대로 위험성 평가 매뉴얼을 작성해 전 부서에 배포할 예정이다. 조용익 시장은 "최근 중대재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이번 위험성평가 점검을 통해 부천시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소를 개선해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뉴스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19/0002734551?sid=102
2023.07.28
충남 보령서 50대 노동자 끼임 사망... 중대재해법 조사중
정부세종청사 고용노동부 전경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충남 보령의 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에서 50대 노동자가 사망해 고용 당국이 중대재해법 위반 여부 조사에 나섰다. 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11시24분께 충남 보령시에 위치한 에스앤에스INC의 보령공장에서 일하던 A(51)씨가 숨졌다. 당시 쇼트기 설비에 끼여 있는 A씨를 동료가 발견해 구조했으나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쇼트기는 부품 표면에 붙은 이물질이나 녹 등을 제거하는 설비다. 해당 사업장은 상시근로자 50인 이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대상이다. 고용부는 사고 발생 사실을 인지한 즉시 근로감독관을 현장에 파견해 사고 내용 확인 후 근로자 안전 확보를 위한 작업 중지를 명령했다. 사고 원인 규명을 신속히 하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법 위반 사항이 없는지 엄정히 수사할 예정이다. 지난해 시행된 중대재해법은 상시근로자 50인 이상 또는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인 사업장에서 노동자가 사망하는 중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나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하도록 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경우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한 경우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한 경우 적용된다. - 기사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000274?sid=102
2023.07.28
베트남 근로자 25층 추락사...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조사
지난 6일 베트남 노동자 2명 추락 숨진 충북 청주 아파트 공사 현장 충북 청주 신축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추락사한 외국인 노동자가 관련 시공을 전문으로 하는 인부가 아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지난 6일 청주시 오송읍 파라곤센트럴시티 2차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베트남 국적 노동자 A씨(39)와 B씨(36) 등 2명이 25층 높이에서 추락해 숨졌다. 숨진 노동자는 건물 외벽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한 대형 이동식 거푸집(갱폼) 해체 작업을 하다 변을 당했다.타워크레인 인양 전 갱폼 고정 나산 푼 듯‘갱폼’은 거푸집과 작업용 발판을 일체형으로 만든 아파트 외벽 타설 보조 장비다. 콘크리트 타설 땐 갱폼을 볼트로 외벽에 단단히 고정한다. 층수를 높일 때 갱폼 볼트를 풀어 위로 옮긴다. 무게가 상당해 갱폼 해체·고정 작업 전엔 반드시 추락 방지를 위해 타워크레인에 연결한 인양 고리에 구조물을 걸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갱폼을 조립하거나 해체하는 경우 갱폼을 인양 장비에 매단 후 작업을 실시하도록 하고, 인양 장비에 매달기 전에 지지 또는 고정철물을 미리 해체하지 않도록 할 것(337조)’이란 내용이 명시돼 있다. 하지만 공사 현장에선 작업 시간을 단축하려 타워크레인 인양 작업 전에 미리 갱폼 고정 나사를 거의 풀어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고 한다. 민주노총 충북본부가 지난 12일 고용노동부 청주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6일 두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청주 흥덕구 오송읍의 한 신축 공사 현장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할 것을 요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사고 이후 현장조사에 나선 고용노동부는 A씨와 B씨가 타워크레인에 인양 고리가 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갱폼 해제를 한 것으로 보고 있다. A씨와 B씨 역시 공기단축을 위해 인양 고리 체결 전 ‘갱폼 선 해체’ 작업을 했다는 게 지금까지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다. 해체 작업 전 구체적인 작업절차와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켰는지 등은 아직 조사 중이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갱폼 해체작업 매뉴얼에 따른 절차를 준수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장 관계자 “갱폼 전문팀 빼고, 비숙련자 투입”현장 사정을 아는 내부 관계자들은 이와 관련해 “작업 상황을 잘 모르는 미숙련 노동자를 갱폼 해체 작업장에 보낸 게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자신을 ‘공익 제보자’라고 밝힌 C씨는 “A씨와 B씨는 업무분장상 갱폼 작업을 맡은 인부가 아니고, 파라곤 3차에서 일하던 내부 형틀 작업 근로자였다”며 “콘크리트 타설을 맡은 골조 업체가 인건비를 아끼려고 숙련도가 낮은 인부를 썼다가 사고가 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고가 난 아파트 현장은 연초 콘크리트 타설과 골조 공정을 맡은 2개 회사 중 1개 회사가 부도나면서 2~3월께 새 업체가 들어왔다. 사고가 난 파라곤 2차 308동은 새 업체가 타설을 맡은 구역이다. A씨와 B씨가 주로 일했던 형틀팀은 아파트 내부 격벽이나 실내 공간을 만드는 작업을 한다. 지난 6일 충북 청주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베트남 노동자 2명이 떨어져 숨졌다. 사진은 추락 이미지. 뉴스1고용노동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조사업계에 따르면 갱폼팀은 숙련도를 고려해 인부 한명당 일당 30만~40만원, 형틀팀은 20만~24만원을 받는다. C씨는 “해당 동은 원래 갱폼팀이 따로 작업했던 곳인데 사고가 난 날은 숨진 베트남 노동자 2명이 해체 작업을 했다”며 “비숙련자에게 싼값을 주고 무리하게 갱폼 해체를 하려던 것 같다”고 했다. 일반적으로 3m짜리 갱폼 조각 하나당 볼트 8개 정도가 들어간다. 선 해체 작업엔 통상 갱폼 고정 볼트를 2개 정도 남기고 모두 풀어버린 뒤 타워크레인 인양 고리를 건다고 한다. C씨는 “숨진 베트남인들은 인양 고리와 볼트 체결 상태 등을 모르고 해체작업을 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사고 현장 갱폼 작업을 맡은 골조업체는 “(고용부 등) 조사를 받고 있어서 답변이 어렵다”고 말했다. A씨와 B씨를 데리고 일하던 지인은 “사망자들도 갱폼 작업을 해본 적은 있다”고 답했다. 사고가 난 사업장은 공사 금액 50억원 이상 건설 현장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다. 고용노동부는 작업 중지 명령을 내리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 기사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93870?sid=102
2023.07.14
'탱크에 빠진 동료 구하려다 참변' 군산 공장서 2명 사망
14일 전북 군산 한 공장에서 탱크 안에 빠진 작업자를 구조하고 있는 소방대원들 모습, [전북소방본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군산=강인 기자】 전북 군산 한 단열재 제조 공장에서 작업자 2명이 탱크에 빠져 숨졌다. 전북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14일 오전 11시22분께 군산시 오식도동 한 단열재 제조 공장에서 작업자 2명이 탱크 안에서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구조대는 작업자 A씨(36)와 B씨(44)를 구조해 병원으로 옮겼지만 끝내 숨졌다. 구조 당시 두 사람은 심정지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원료를 섞는 기계의 탱크 수리 작업을 하던 중 A씨가 빠지자 B씨가 구조하려다 함께 빠진 것으로 보인다. 탱크는 깊이가 2m 가량으로 입구가 좁고 깊은 형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 기사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042097?sid=102
2023.07.14
한국타이어 공장서 4개월 만에 또 끼임사고 발생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사진제공 = 연합뉴스] 한국타이어 공장에서 근로자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3월 30대 근로자가 고무롤에 끼여 다치는 사고가 발생한 지 4개월 만이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오후 3시 35분께 대전 대덕구 목상동 한국타이어 대전1공장 성형공정에서 작업하던 50대 근로자 A씨가 기계설비에 끼여 심정지 상태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사망했다. 경찰과 노동 당국은 목격자와 한국타이어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경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A씨는 원래 2공장에서 근무했는데, 지난 3월 화재 이후 휴업하다 지난 5월 초 1공장에 전환배치된 것으로 전해진다. 한국타이어 공장에서 사고가 발생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3월 13일 한국타이어 금산공장에서도 타이어 압출공정 작업 중이던 30대 근로자가 고무롤에 끼여 다친 바 있다. 2020년 11월에는 대전공장에서 40대 근로자가 옷이 기계에 끼는 바람에 숨졌다. 당시 대전공장장과 한국타이어 법인은 최근 1심에서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죄가 인정돼 벌금 500만원을 선고받았다. 이처럼 근로자 사고가 잇따르자 노조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금속노조 대전충북지부 관계자는 “근로자 안전 확보에 사측의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며 “더 이상의 근로자 부상·사망사고를 막기 위해서라도 한국타이어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타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57671?sid=102
2023.07.13
7월 한달간 중대산업재해로 13명 사망... 특별 현장점검 실시
이달에만 중대산업재해로 노동자 13명이 숨진 가운데 고용노동부가 오늘 특별 현장점검을 합니다. 고용부는 지난해까지 7월 첫째 주를 '산업안전보건 강조 주간'으로 운영했지만, 일터 안전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확산하기 위해 올해부터 월간 행사로 격상해 7월을 '산업안전보건의 달'로, 12일을 '특별 현장점검의 날'로 정했습니다. 고용부와 공단은 중대산업재해 가능성이 큰 추락, 끼임, 부딪힘 등 3대 사고 유형의 8대 위험 요인을 중심으로점검하면서 최근 중대산업재해 사례, 여름철 안전 수칙 등을 안내할 예정입니다. 고용부에 따르면 이달에만 지난 10일까지 산업현장의 중대산업재해로 13명이 숨졌다고 밝혔습니다. - 기사출처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21730&ref=A
2023.07.12
충주 공사 현장서 배관 작업하던 40대 감전사... 중대재해처벌법 조사
사진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충북 충주의 한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 1명이 감전돼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고용당국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에 나섰다. 12일 경찰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55분쯤 충주 대소원면 한 공장 건설 현장에서 그라인더를 이용해 배관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던 40대 A 씨가 감전됐다. A 씨는 심정지 상태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2시간여 만에 숨졌다. 경찰은 A 씨가 작업 중 실수로 그라인더 전선을 자르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정확한 사망 원인을 밝히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부검을 의뢰할 방침이다. 사고가 난 현장은 공사 금액 50억 원 이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다. 고용노동부는 작업 중지 명령을 내리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다. - 기사 출처 : http://www.daej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74217
2023.07.12
물놀이 사고 예방,, 안전관리 관계기관 긴급 점검회의 개최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7월 3일 연안 지자체 10개 시ㆍ도, 해양경찰청 및 소방청 등과 함께 해수욕장 안전관리 긴급 점검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코로나 19 방역조치 해제와 때 이른 폭염 등으로 많은 이용객ㄱ이 해수욕장을 방문함에 따라, 물놀이 사고 예방 등 안전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습니다. 회의에서 해수부는 해수욕장 개장 전이라도 이용객이 많을 경우 안전관리요원을 사전에 배치하고, 여건상 사전 배치가 어려울 때는 현수막ㆍ안내방송, 홍보물 등을 활용하여 개장 전부터 물놀이 안전수칙을 안내 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 당부했습니다. 또 해경은 여름철 성수기 해수욕장, 해안가 등 연안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인력 584명, 연안구조정, 수상오토바이 등 안전 장비 221대를 투입해 사고예방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소방청은 전국 해수욕장 88개소에 소방공무원과 민간자원봉사자 등으로 구성된 119시민 수상 구조대를 배치해 안전을 관리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기온이 상승하면서 최근 동해안 지역에서도 상어가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해수부는 지자체에 특별 관리를 요청했습니다.지자체는 상어 출현 시 관련 상황을 이용객에게 즉시 전파하고, 관계기관과 출현 현황 등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로 했습니다. - 기사 출처 : https://www.news1.kr/articles/5097480
2023.07.04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