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세이프어스입니다.
신산업 사고 예방 자료에 대해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그 중 바이오 가스 설비 사고예방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 바이오가스의 특성 및 위험성
- 하수찌꺼기, 분뇨, 음식물폐기물 등 유기성 폐자원을 분해하여 생산하는 가스로 도시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재생에너지
- 인화성가스인 메탄(CH4)을 포함하고 있어 화재·폭발 위험이 높음
※ 바이오가스 시설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09년 49개소 → ’23년 112개소)
■ 바이오가스 생산공정별 안전수칙
- 반입 및 전처리
ㆍ하역운반기기 및 보행자 통로 구분
ㆍ반입실 입구 에어커튼 등 악취 외부확산 최소화
ㆍ반입 음폐수의 수질에 대한 모니터링
ㆍ전처리 시 퇴적물 막힘 예방
ㆍ가스감지기 설치
ㆍ바닥은 불침투성 재료로 하고 배수가 잘되도록 시공
- 혐기성 소화 및 정제 공정
· 계측기기 설치 및 성능 유지
ㆍ퇴적물의 주기적인 드레인
ㆍ통기밸브, 비상압력방출장치 설치 및 관리
ㆍ작업 시 밀폐공간 프로그램 실시
ㆍ황화수소에 의한 설비부식, 근로자 중독 예방
- 바이오가스 저장
ㆍ누출 확인을 위한 감지경보설비 및 비상정지 장치 설치
ㆍ샘플링 작업 시 절차서 수립
ㆍ잉여가스연소기 안전거리 확보
- 소화슬러지 처리
ㆍ저류조 내부 폭발위험장소구분 및 적합한 기계기구 설치
ㆍ가스체류 방지를 위한 조치
ㆍ소화슬러지 저류조 인근 화기작업 금지
■ 바이오가스 취급 사고 사례
※ 사례: 저류조 상부 배관작업 중 폭발
▶ 발생일
- 2022.6.11.(토)
▶ 피해현황
- 인적피해 : 사망 1, 부상 1
- 물적피해 : 설비소손
▶ 발생작업단계
- 보수
▶ 누출원
- 저류조
▶ 사고형태
- 폭발
▶ 사고내용
- 저류조 상부에서 배관 작업 중 폭발로 인해 개방된 맨홀로 작업자가 추락하여 사망
※ 사례: 혐기성 소화조 상부 작업 중 폭발
- 2021.6.29.(화)
- 인적피해 : 부상 3
- 소화조
- 혐기성 소화조 상부에서 3명이 소화조 교반기 와이어로프 교체작업 중 폭발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