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in

커뮤니티 안전보건in
스티렌 직업성 질병 예방 안내

 

안녕하세요, 세이프어스입니다.

스티렌 직업성 질병 예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 발생원 및 노출가능 상황

 

- 스티렌은 스티렌 중합과정에 주로 사용

- 합성고무(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의 제조, 유리강화에 사용되는 불포화 폴리에 스테르 수지의 용제 기본플라스틱, 합성고무, 레진, 절연체 제도 등에 사용

- 포장제, 절연제, 파이프, 타이어, 합성수지 등의 제조업에서 원료의 투입, 교반, 유리강화섬유 적층가공작업 등에서 노출 가능

 

 

■ 건강영향

 

▶ 흡입 : 호흡기계 자극 유발

▶ 눈 : 심한 눈 자극 유발

▶ 신경 : 중추신경계 이상 유발

▶ 암 : 암을 일으킬 수 있음

 

 

■ 저장방법

 

- 빈 드럼통은 완전히 비우고 잘 막아 적절한 위치로 옮길 것

- 음식물과 격리하여 보관할 것

- 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금연)

- 직사광선을 피하고 서늘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 밀폐하여 보관 할 것

 

 

■ 취급방법

 

- 용기에 잔류물이 있을 경우 MSDS 및 경고표지의 예방조치를 참고 할 것

- 조심스럽게 마개를 개봉할 것

- 취급 중에는 먹거나, 마시거나, 흡연을 하지 말 것

- 취급 후에는 취급 부위를 철저히 씻을 것

- 지속적인 피부접촉을 하지 말 것

-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만 사용할 것

 

 

■ 응급조치 요령

 

▶ 눈에 들어갔을 때

… 물로 조심해서 씻고 콘택트렌즈를 제거하세요.

 

▶ 피부에 접촉했을 때

… 화상이 발생한 경우, 찬물로 식힌 후 피부에 들러붙은 옷은 제거하지 마세요.

 

▶ 흡입했을 때

… 호흡이 없는 경우, 인공호흡을 실시하세요.

 

▶ 먹었을 때

.... 입을 씻어내고 토하게 하지 마세요.

 

 

■ 재해사례


▶ 업무상 질병 판정 위원회 판정 사례 타이어 가류 작업 근로자에게서 발생한 천식 및 비염

- 근로자 A씨는 타이어 약 5년간 타이어 가류 작업을 실시하고 천식 및 비염으로 진단받음 .

- 가류 공정의 작업환경측정 결과 스티렌이 최고 0.19ppm이었으며, 고무흄 및 스티렌에 저농도로 노출된 후 3년 정도 지나 통년성 비염 증상이 발생하였고 4년 정도 지난 후에는 천식 증상이 발생하였음. 또한, 최대호기유속이 작업 관련성을 나타내 해당 상병이 업무과 관련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세요.

 

 

 

 

댓글 0